1) 해시 테이블 - 데이터를 관리, 유지하는 자료구조. 삽입. 수정. 삭제에 대한 모든 시간 복잡도 O(1) - 데이터들이 해시함수에 의해 분류됨. 분류된 데이터들은 규칙에 의해서 해시 테이블안에 들어가게 되는데, 이과정을 해싱이라 함. - 해시: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 - 해시 충돌이 일어날 경우 1) 체이닝 기법과 (리스트 같은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해시값이 다음 해시값을 가리키게 이어 붙임.) 2) linear probing (충돌할 경우 다음 버켓으로 넘어가며 빈 자리를 찾음.) 2) 정렬 알고리즘 ➀ 선택정렬 :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해서 제일 앞으로 보내는 알고리즘. - min 값을 두고, 0번째 인덱스부터 끝까지 각각 n-i번 비교하여 작은 값을 찾으면 mi..